짧은 수면 시간은 치매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낮은 수면 품질과 수면 장애는 인지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수면 부족은 뇌의 신진대사와 노폐물 배출을 저해합니다. 규칙적인 생활 습관과 편안한 수면 환경을 유지하는 것은 치매 예방에 필수적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기억력이 평소보다 약해지는 것 같다면, 성급하게 치매라고 단정 짓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대신, 정확한 검사를 통해 정상적인 노화와 병적인 쇠퇴를 구분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느 정도의 인지 기능 저하가 나타나는 것은 노화의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의학 전문가들에 따르면, 치매는 단일 질환이 아니라 인지 기능 저하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 상태입니다.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수면의 질 저하수면 장애 와 같은 공통적인 특징이 지속적으로 나타나, 수면 부족과 치매 발병 사이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경희대학교병원 신경과 이진산 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수면 부족은 전반적인 뇌 대사 및 노폐물 제거 과정을 저해하여 인지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깨어 있는 동안 축적되어 수면을 촉진하는 물질인 아데노신 의 대사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원인인 베타 아밀로이드 와 같은 대사 부산물이 뇌에서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2021년 영국에서 실시된 장기 연구에 따르면, 하루 6시간 이하로 자는 사람들은 7시간 이상 자는 사람들보다 치매 발병 위험이 30%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충분한 수면은 뇌 건강 유지에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집니다.

좋은 수면이란 자주 깨지 않고 깊은 잠을 자며 뇌가 제대로 회복할 수 있는 깊고 회복적인 휴식 단계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기르고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은 치매 예방에 매우 중요합니다.

치매는 일반적으로 퇴행성 치매혈관성 치매 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60% 이상의 사례가 알츠하이머병입니다. 알츠하이머병 은 가장 흔한 퇴행성 치매의 한 형태로, 뇌에 베타 아밀로이드타우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발생합니다. 기억력 감퇴, 언어 장애, 공간 감각 상실, 성격 변화 등의 증상은 수년에 걸쳐 천천히 진행됩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혈관성 치매는 뇌경색이나 뇌출혈로 인해 발생하며 갑자기 나타나며 기억력 감퇴, 성격 변화, 우울증, 보행 장애와 같은 증상이 퇴행성 치매보다 더 빨리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교수는 이렇게 덧붙였다.

퇴행성 및 혈관성 원인 외에도 정상압 수두증 , 우울증 ,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으로 인해 치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매 환자의 약 10%는 근본 원인을 적절히 치료하면 호전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억력 감퇴가 의심되는 경우,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신경심리검사 및 뇌영상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정상압 수두증 으로 인한 치매는 과도한 뇌척수액을 배출하면 호전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갑상선기능저하증 (대사 활동 감소로 인해 정신 활동이 느려지는 증상)으로 인한 인지 기능 저하도 갑상선 호르몬 치료 로 치료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치매로 이어질 수 있는 기저 질환은 약 70가지 가 있으며, 증상은 환자마다 매우 다양합니다. 각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포괄적인 관찰은 효과적인 진단과 치료의 핵심입니다."

출처: 코리아타운데일리(https://koreatowndaily.com)